반응형
승강기 정기점검이 있던 날
승강기관련해서 민원이 왔다
가끔 가까이 있는 승강기가 오지 않고
다른 승강기가 와서 불편하다는데
왜 그런지 알고 싶다고
나도 궁금해서 점검하는 직원에게
물어보니 여러 가지 이유가 있는데
한쪽 승강기가 많이 운영되면
다른 쪽 승강기로 넘어가거나
가까운 승강기에 사람이 많으면
다른 승강기에 넘어가는 등
여러 가지 로직에 의해서 움직여
그럴 수도 있다는 대답이다
관련해서 쳇 GPT에게 물어보았다
질문
승강기 두대가 있어요 가까이에 있는 승강기가 오지 않고 두대 중에 선택해서 운행되는 이유는?
ChatGPT 대답
엘리베이터(승강기) 두 대 중에서 가까이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엘리베이터가 선택되어 운행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.
1. 엘리베이터의 호출 알고리즘
- 엘리베이터는 단순히 가까운 엘리베이터가 오는 것이 아니라, 운행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됩니다.
- 예를 들어,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최소한의 이동 거리로 전체 승객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.
- 특정 엘리베이터가 이미 다른 층을 향해 이동 중이라면,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가 선택될 수 있습니다.
2. 이미 할당된 경로
- 한 엘리베이터가 가까이 있더라도, 이미 특정 층을 방문하는 일정이 있다면 새로운 호출을 받을 수 없는 상태일 수 있습니다.
- 반면, 다른 엘리베이터가 대기 중이면 그 엘리베이터가 호출을 받습니다.
3. 에너지 효율성 고려
- 시스템이 불필요한 엘리베이터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려 할 수도 있습니다.
- 예를 들어, 한 대는 위층으로 이동 중이고, 다른 한 대가 아래층에 머물고 있다면, 이미 아래층에 있는 엘리베이터를 보내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.
4. 안전 및 유지보수 모드
- 특정 엘리베이터가 점검 중이거나, 일부 기능이 제한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.
- 이 경우 시스템이 자동으로 다른 엘리베이터를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.
5. 승강기 부하 분산
- 두 대의 엘리베이터가 균등하게 사용되도록 설계된 경우, 특정 엘리베이터가 일정 횟수 이상 작동하면 다른 엘리베이터가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습니다.
- 이는 장비의 마모를 줄이고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전략입니다.
즉,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단순히 "가까운 곳에 있는 엘리베이터"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, 여러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엘리베이터를 선택합니다.
반응형
'시설관리 > 오피스텔+상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완강기실 흡연 (1) | 2025.04.09 |
---|---|
기계식주차장 관리인교육 (feat.관계법령, 신청하는법) (0) | 2025.03.31 |
TV 수신료 부과(feat. 저 tv안봐요) (0) | 2025.03.31 |
지역난방 간헐적 가동 시작 (feat 열교환기 외기보상제어 설명 동영상) (1) | 2025.03.28 |
온수, 수도 요금 민원인과 말싸움... (0) | 2025.03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