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주택관리사/회계

(주택관리사 회계원리)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 - 기출문제

by by날개 2025. 3. 21.
반응형

 

1. 기타 포괄손익-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(FVOCI, Fair Value through Other Comprehensive Income)

 

이 자산들은 매각을 통해 이익을 실현하려는 목적이 아니라, 보유하면서 이익을 얻기 위한 자산들입니다. 이 자산의 가치 변화는 당장 우리 회사의 수익으로 계산하지 않고, 재무제표의 다른 부분에 기록합니다.

쉽게 설명하면:

  • 기타포괄손익: 일반적으로 우리 회사의 당기 손익(즉, 올해의 수익과 비용)과는 별도로, 재무제표의 다른 부분에 기록되는 수익과 비용입니다.
  • 공정가치: 자산을 현재 시장에서 팔았을 때 받을 수 있는 가격입니다.
  • 측정: 자산의 가치를 평가하는 과정입니다.

따라서, 기타포괄손익-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이란 현재의 시장 가격을 기준으로 가치가 변동하는 금융자산이지만, 그 가치 변동은 당장의 수익과 비용으로 계산하지 않고, 재무제표의 다른 부분(기타포괄손익)에 기록하는 자산입니다.

예시:

  1. 상장 주식 투자:
  • 우리 회사가 어떤 회사의 주식을 샀다고 가정합시다. 이 주식의 가격이 오를 수도 있고, 내릴 수도 있습니다.
  • 이 주식을 단기 매매를 통해 이익을 내려고 하지 않고, 장기적으로 보유하여 배당금을 받거나 나중에 매각할 때를 위해 보유한다고 가정합니다.
  • 주식 가격이 오르면 그 차익은 당장 우리 회사의 수익으로 계산하지 않고, 기타포괄손익에 기록합니다.
  • 주식 가격이 내리면 그 손실도 당장 우리 회사의 비용으로 계산하지 않고, 기타포괄손익에 기록합니다.
  • 나중에 주식을 팔 때, 그때까지 누적된 평가손익을 재무제표에 반영합니다.

요약:

기타포괄손익-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은 보유하는 동안 가치 변동을 재무제표의 특정 부분(기타포괄손익)에 기록하고, 매각할 때까지 실제 손익으로 반영하지 않는 자산입니다. 이는 주로 장기적인 투자 목적으로 보유하는 자산에 해당합니다.

[출처] 기타 포괄손익 -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의 예시와 설명|작성자 딤섬

 

 

2. 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, 평가이익/손실이란? 

 

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(구, 단기매매금융자산)이란, 매매를 통해 차익 실현을 위해 취득하는 금융자산을 의미합니다. 쉽게 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회사의 주식이나 채권을 보통 의미합니다.

 

 

구분
정의
평가손익
당기손익 - 공정가치
  • 단기매매항목, 주식, 파생상품, 지분증권, 채무증권
  • 회계 불일치를 제거하기 위해 선택한 경우
당기손익
기타포괄손익-공정가치
  • 사업모형이 '계약상 현금흐름 수취와 매도
  • 계약상 원리금으로만 구성
  • 단기매매항목이 아닌 지분상품으로 최초 인식 시점에 선택한 경우
기타포괄손익
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
  • 사업모형이 '계약상 현금흐름 수취'
  • 계약상 원리금으로만 구성

 

반응형